러시아 본토와 크림반도를 잇는 유일한 다리, 크림대교 일부가 폭파되면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공습하는 등 전쟁은 더욱 격화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크림대교 폭파는 이미 전쟁이 지속되면서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푸틴에게 크림대교가 갖는 의미가 상당하기 때문인데요. <br /> <br />크림대교는 2014년,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영토였던 크림반도를 강제 병합한 뒤, 건설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돈으로 5조 원 넘게 쏟아부었고, 그렇게 4년 만에, 19km에 달하는 유럽에서 가장 긴 교량이 완성됩니다. <br /> <br />푸틴은 개통 직후 직접 트럭을 몰고 다리를 건너며 선조의 염원을 담은 다리가 완성됐다고 애정을 드러냈습니다. <br /> <br />푸틴에게는 러시아 영토 확장의 상징물로 착공부터 개통까지 직접 관여하지 않은 것이 없을 정도였죠. <br /> <br />그야말로 푸틴의 다리였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당시에도 우크라이나 반발은 거셌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 정부가 국제법을 무시하고 교량을 건설해 주변 환경이 피해를 입었고, 무엇보다 우크라이나 주권이 침해당했다는 것이었죠. <br /> <br />때문에 전쟁이 장기화할수록 크림대교는 여러 번 표적으로 거론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6월, 우크라이나 군 지역 사령관은 "서방의 무기 지원을 받으면 크림대교가 1호 표적이 될 것"이라고 경고했고, <br /> <br />두 달 전엔 우크라이나 대통령 고문인 미하일 포돌야크가 불법 건설된 크림 대교는 반드시 해체돼야 한다며 SNS를 통해 파괴 이유를 밝히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 푸틴 대통령의 생일 이튿날 크림대교는 폭파됐는데요. <br /> <br />러시아는 남부 전선 핵심 보급로가 차단돼 막대한 차질을 빚게 됐고, 무엇보다 푸틴의 자존심이 무너져 내리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푸틴은 바로 우크라이나 전역에 미사일 80여 발을 퍼부어 보복성 공격을 감행했는데요. <br /> <br />그의 최측근도 이번이 첫 번째 에피소드에 불과하다'며 추가 공격을 시사한 가운데 '핵 버튼'이라는 극단적인 카드까지 다시 거론되고 있어, 전쟁 양상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1011184501027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